메뉴 바로가기 컨텐츠로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 알림·홍보 > 보도자료
1162번 게시글
[보도자료 2022-97] 2022년 청소년 대상 5ㆍ18인식조사 결과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2-12-20     조회 : 297
  • 보도자료 2022-97 호
  • 보 도 자 료
  • 2022년 12월 20일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전화 062-360-0518
    팩스 062-360-0519
  •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152 Naebang-ro Seo-gu Gwangju,
    61965, Republic of Korea
    Telephone +82-62-360-0518
    Fax. +82-62-360-0519
담당부서 5·18기념재단 행정지원실 책임자 실장 김인숙  (062-360-0511)
담당자 실장 김인숙  (062-360-0511)
  
2022년 청소년 대상 5·18 인식조사 결과

 

20225·18청소년인식지수는 67.4%으로 2021(66.5%) 대비 0.9% 상승

5·18 관련 가짜 뉴스를 접한 적 있다는 11.0%, 2021(10.9%)와 유사

5·18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 53.8%가 필요하다는 응답


 

‘20225·18 청소년 인식조사결과 5·18청소년 인식지수는 67.4점으로 2021(66.5)에 비해 0.9점 상승하였다. 5·18청소년 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5·18이미지가 83.7점으로 가장 높고, 5·18기여도(73.5), 5·18 인지도(53.1)순으로 조사되었다. 5·18이미지는 전년 대비 0.1점 감소하였고, 5·18인지도(1.2), 5·18기여도(0.1)는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만한 내용으로 청소년이 생각하는 5·18관련 새 정부의 추진 과제’ 1순위로는 피해자 보상 및 치유’(33.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18민주화운동 이후 과제로헌법 전문 수록필요하다’(53.8%)고 대다수가 응답했다.

또한 5·18관련 가짜 뉴스를 접한 적 있다는 11.0%, 2021(10.9%)와 유사한 수준으로 청소년들이 가짜뉴스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25·18 청소년 인식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서던포스트가 진행했다.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1,012명을 대상으로 지역·학교급(계열 포함)을 고려한 비례할당을 적용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우편조사로 진행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의 ±3.1%p. 

 

 

청소년의 5·18인식지수는 67.4점으로 전년(66.5)에 비해 0.9점 상승함

: 5·18이미지(83.7) 타 항목 대비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남

20225.18 청소년인식지수는 67.4점으로 2021(66.5) 대비 0.9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 5·18 청소년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5·18 이미지83.7점으로 가장 높고, ‘5·18 기여도’ (73.5), ‘5·18 인지도’(53.1) 순으로 조사됨

 

[인지도]

● 청소년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을 전년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5·18 이미지는 전년 대비 0.1점 감소하였고, ‘5·18 인지도’ (1.2), ‘5·18 기여도’(0.1)는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5.18 인지도를 구성하는 항목이 매년 변경된 것을 고려하면 청소년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 수준은 전년도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특히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지도를 최근 3년간(2020~2022)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비교하면, 인지도는 2021년에는 하락했지만 2022년도는 소폭 상승하였고, 비인지로 분류된 비율은 20.5%에서 17.3%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인지도 항목별로는 전년 조사 결과 대비 ‘5·18 민주화운동 국가기념일 인지도(62.9)’ 3.5점 하락함. 반면, ‘5·18 민주묘지 인지도(55.7)’ 1.4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 5·18 인지도 구성항목 변경 내용

- 2020: 전두환, 노태우 처벌사실, 5·18 국가기념일 지정, 국립 5·18 민주묘지 조성

- 2021: 5·18 민주화운동, 5·18 특별법, 5·18 국가기념일 지정, 국립 5·18 민주묘지 조성

- 2022: “님을 위한 행진곡”, 5·18 국가기념일, 국립5·18민주묘지

 

[기여도]

● 2022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5·18 기여도73.5점으로 2021(73.4)에 비해 0.1점 상승

● 각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민주화의 기여도가 78.6점으로 가장 높고, ‘한국의 인권신장(74.5)’,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67.4)’ 순으로 나타남

● 전년도 조사 결과 대비 한국의 인권신장 기여도,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 기여도가 각각 0.1, 2.0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이미지]

● 2022년의 5·18 이미지83.7점으로 2021(84.0)에 비해 0.3 하락함

● 항목별로는 국가의 부당한 폭력의 정의로운 저항의 이미지가 82.0,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주주의 역사(85.6)’으로 조사됨

● 전년도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국가의 부당한 폭력의 정의로운 저항1.1점 하락, ‘국가의 부당한 폭력의 정의로운 저항0.5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종합]

● 2022청소년인식지수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지도, 기여도,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조사와 지속적으로 시계열 비교를 수행하고 있음. 전년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인지도, 기여도,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을 보임

● 그러나 사회정치 및 역사에 대한 관심에 대한 문항은 시계열 비교를 수행하지 않았지만, 관심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매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인지도는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을 내재한 것으로 해석해야할 것임

● 따라서 청소년들의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청소년인식지수를 유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학교,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과정에서 언급되고 있는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설명 및 교육 자료를 고려하여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2022청소년 인식지수조사에서는 주요 지표 산출 문항을 제외한 문항에 대해서는 시의성을 고려하여 항목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이 진행되었음. 향후 진행될 2023년 조사에서는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 기여도에 대한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관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보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5·18 관련 가짜뉴스를 접한 적 있다는 11.0점으로 전년(10.9)과 유사한 수준

: 청소년들이 가짜뉴스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올해 5·18 관련 가짜라고 판단한 뉴스(가짜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11.0%로 조사되었으며, 전년도 조사 결과(10.9%)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됨

● 청소년들은 가짜뉴스를 접한 매채에 대해서는 유튜브, 사회연결망, 그리고 TV, 포털사이트에서 주로 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전년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유튜브 그리고 SNS를 통해 접하는 것으로 응답한 순위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TV와 포털사이트에 대한 순위가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남

● 상당수의 청소년들은 여전히 가짜뉴스인지 구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뉴스에서 보도되고 있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특히 유튜브, SNS에서 접하는 내용의 경우, 정제되지 않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 보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왜곡된 인식을 갖기 쉽다는 점에서 향후 지속적인 주의, 관심이 필요함

 

5·18 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수록에 조사한 결과 53.8%가 필요

● 5·18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수록을 조사한 결과, 53.8%필요(매우 필요하다 14.0% + 필요하다 39.8%)’라고 응답함

 

그림 3-1. 5·18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한 견해

[n=837, 단위: %,]

 

                           @ 응답자 Base : 전체

 

5·18 민주화운동 관련 새 정부의 추진 과제

● 5·18민주화운동 관련 새 정부의 추진 과제를 조사한 결과, 1+2순위 기준 피해자 보상 및 치유33.4%로 가장 높은 비율이며, 이이서 진상조사 및 진실알리기(32.9%), 5·18기념사업 및 기념시설 조성(17.8%), 5·18정신 세계화(15.8%) 순으로 나타남

 

그림 3-2. 5·18민주화운동 관련 새 정부의 추진 과제

[n=837, 단위: %,]

 

                          @ 응답자 Base : 5·18민주화운동 인지자

 

 

 

 

 

첨부파일


1162번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보도자료 2022-96] 5·18 정신의 헌법전문 수록을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다음글 [보도자료 2023-1] (성명서) 2022 개정 교육과정 ‘5ㆍ18민주화운동’ 삭제를 규탄한다.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인쇄
Top이동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쌍촌동 1268번지) 전화번호 062-360-0518 팩스번호 062-36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