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열흘간의 항쟁(1980.5.18.~5.27.)
제1장 5‧18민주화운동의 성격 GO >
제2장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배경 GO >
- 1. 유신체제의 붕괴
- 가. 정치적 배경
- 나. YH무역회사 여성 노동자 농성과 야당 탄압
- 다. 부산·마산 민주항쟁
- 라. 박정희 대통령 사망
- 2. 신군부의 하극상, 12·12쿠데타
- 3. 반란세력의 정권탈취
- 4. 좌절된 민주화
- 5. 1980년 봄 광주의 상황과 5·17 비상계엄령 확대
제3장 5·18민주화운동과 유혈 진압 GO >
- 1. 5월 18일 민주화운동의 발발
- 가. 비극의 시작
- 나. 7공수여단과의 첫 충돌
- 다. “조기에 강격 진압하라”
- 2. 5월 19일
- 3. 5월 20일
- 4. 5월 21일
- 가. 가자, 도청으로!
- 나. 도청 앞 집단 발포
- 다. 시민군 탄생과 공수부대 철수
- 라. 항쟁의 확산
- 5. 5월 22일~26일
- 가. 봉쇄작전
- 나. 절대공동체
- 다. 수습대책위원회
- 라. 민주 수호 범시민 궐기대회
- 마. 온건파와 항쟁파
- 바. 항쟁지도부 등장
- 6. 죽음의 행진과 26일 밤
- 7. 5월 27일, 새벽의 마지막 불꽃
- 8. 5·18민주화운동과 미국
- 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미국의 입장
- 나. 한·미연합사의 작전통제권 이양
제4장 5·18민주화운동의 부활 GO >
- 가. 진상규명 운동과 책임자 처벌
- 나. 피해 보상과 기념사업
- 다. 5·18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5‧18 열흘간의 항쟁』 (2020, 5·18기념재단) 발췌
참고 문헌
-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5‧18민주화운동>
- 대한민국 국회사무처, <5‧18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 제1~30호
- 대한민국 국회사무처, <5‧18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 현장 검증 회의록> 제1~5호
- 평화민주당, <5‧18광주민중항쟁 청문회 활동일지>, 1989
- 5‧18광주민중항쟁 9주년 기념 학술토론회, <광주민중항쟁과 한국민족민주운동>, 1989
- 5‧18광주민중항쟁동지회, 《부마에서 광주까지》, 샘물, 1990
- 5‧18광주의거청년동지회, 《5‧18광주민중항쟁 증언록-무등산 깃발》, 광주, 1987
- 강인섭, <정승화, ‘12‧12는 분명히 쿠데타였다’>, 신동아, 1987.12
- 관훈토론회, <노태우-12‧12는 쿠데타 아니다>, 월간조선, 1987.12
- 김삼웅, 《서울의 봄, 민주선언》, 일월서각, 1987.3
- 김영택, 《10일간의 취재수첩》, 사계절, 1988.5
- 아놀드 A. 피터슨(정동섭 옮김), 《5‧18 광주사태: 아놀드 피터슨 목사의 ‘80년 광주’ 증언록》, 풀빛, 1995
- 신동아 편집실, <K-공작 언론인 94명 포섭 계획>, 신동아, 1990.2
- 신동아 편집실, <전 군 주요 지휘관 회의 회의록 전문>, 신동아, 1988.10
- 월간조선 특별취재반, <미공개 자료, 조선일보 취재일지>, 월간조선, 1985.7
- 위정철, <내가 겪은 5월의 광주-다시 정리해본 당시 취재기자의 수첩>, 1988.5
- 윤재걸, 《작전명령 화려한 휴가》, 실천문학사, 1988
- 이태원, <인터뷰-정호용, 광주사태 책임자 밝히다>, 월간경향, 1988.5
- 전남사회운동협의회 편, 《5‧18광주민중항쟁자료집》, 광주, 1988
- 정상용 외, 《광주민중항쟁, 다큐멘터리 1980》, 돌베개, 1990
- 조갑제, <공수부대의 광주사태>, 월간조선, 1988.7
- 평화민주당, <1980년의 진실: 광주특위 증언록>, 1988
-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광주오월민중항쟁사료 전집》, 풀빛,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