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인식지수
조사 개요
조사목적
-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파악을 목적으로 2007년부터 매년 5·18인식 조사를 시행해 오고 있음.
- 또한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발전 및 계승시키고자 국내 및 해외 일반 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기념사업, 발간사업, 행사사업 참여 등의 다양한 사 업을 펼치고 있음
- 본 조사는 일반국민과 사업참여자들의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의 추이를 진단하고 △5·18기념재단에 대한 인지도와 △재단 사업에 대한 평 가 △사업의 적절성 및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재 단의 유관사업 추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됨
- 또한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인터넷 공간에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비 방이나 왜곡에 대해 일반국민들과 사업참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재단에서 대응해야 할 방법들에 대해서도 가늠해 보고자 함
![조사목적](/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1.jpg)
조사설계
구 분 | 2015년 5·18인식지수 종합 결과보고서 조사 설계 | |
---|---|---|
일반국민 | 사업참여자 | |
조사대상 | 만 19세 이상 일반국민 | 5․18기념재단 사업참여자 |
조사방법 | 전화면접조사방법 (telephone interview) | 사업 특성에 따른 조사방법 다양화 - 개별면접조사 및 전화면접조사 |
조사방식 | CATI(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시스템을 활용한 RDD (random digit dialing)방식 조사 | - |
표본추출 | 16개 광역시도 및 성, 연령별 인구크기에 따른 비례할당추출(proportional quota sampling) | 사업별 무작위 추출 (random sampling) |
유효표본 | 600명 | 554명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오차 ±4.00%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오차 ±4.16% |
조사기간 | 2015년 5월 12일 ~ 5월 13일 | 2014년 5월 16일 ~ 10월 8일 |
5·18인식지수
2015년 5·18인식지수는 71.2점으로 조사되었음. 이는 2014년 조사결과(71.7점) 와 비교하면 0.5점 하락한 결과이며 2013년(71.2점)과는 동일한 수준임. 분야 별로 살펴보면, ‘기념재단 사업 만족도에 대한 평가’가 78.5점으로 가장 우수하 였고, 다음으로 ‘5·18민주화운동 인식평가’(67.2점), ‘기념재단 인지도에 대한 기 관평가’(39.1점)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2.jpg)
2015년 5·18민주화운동 인식평가는 67.2점으로 2014년(71.6점) 대비 4.4점, 2013년(69.8점) 대비 2.6점 하락함. 인식평가는 ‘민주화 기여도’,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 ‘민주주의 상징성’은 77점대로 상대적으로 높고, ‘진상규명 여 부’(45.1점) 및 ‘평화통일 기여도’(55.1점)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음.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3.jpg)
2015년 5·18기념재단 사업평가는 78.5점으로 나타남. 이는 2014년 조사결과 (78.0점)와 비교하면 0.5점 상승한 반면, 2013년(81.3점) 대비 2.8점 하락함. 기념재단에서 수행하는 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평가에서 ‘향후 지속 성’이 8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른 항목은 모두 70점대로 비슷한 수준을 보임.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4.jpg)
2015년 5·18기념재단 기관평가는 39.1점으로 나타남. 이는 2014년 조사결과 (59.4점)와 비교하면 20.3점, 2013년(44.3점)은 5.2점 하락함. 기관평가 차원을 구성하는 ‘인지도’ 항목은 2014년 대비 4.2점 하락하였으나, 2013년 대비 14.7 점 상승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5.jpg)
종합 요약 및 제언
- 5․18기념재단에서는 기관의 설립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는 운영을 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받고자, 매년 평가를 실시하였음. 지난 2013년부터 인식지수 측정에 변 화를 가져왔고 2015년에는 보다 효과적인 결과 도출을 위한 새로운 문항 추가 및 5·18인식조사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인식지수 산출 방법에 변화를 주어 일반 국민과 사업참여자를 대상으로 5·18인식지수를 측정함.(※ 인식지수 산출 방법 은 개요 참고) 그 결과 2014년 5·18인식지수는 71.2점으로 이는 2014년(71.7 점) 대비 0.5점 하락한 결과이며 2013년(71.2점)과는 동일한 수준임. 지난해 보다 하락하였으나 이는 인식지수 산출 변화에 따른 현상으로 판단되며 추후 인 식지수 결과 추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평가는 67.2점으로 이는 2013년과 2014년과 비교하 여 하락하여 보다 활발한 홍보 활동 등으로 인식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 인식평 가 차원을 구성하는 항목에서 ‘민주화 기여도’,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 ‘민주주의 상징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진상규명 여부’ 및 ‘평화통 일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음. 2013년 및 2014년과 비교하여 대 부분 항목이 하락하였으나, ‘진상규명 여부’ 항목은 2013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 를 보임. 인식평가는 지역별로 ‘해외’에서 높게 나타나 이는 ‘해외’지역의 응답자 가 모두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업참여자로 5·18인식지수가 높 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됨. 평소 사회·정치 관련 뉴스 관심도 및 대화 빈도가 높 으면 높을수록 5·18인식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남. 정치성향별로 ‘진보’가 가장 높게 나타남.
- 2015년 5·18기념재단 사업평가(만족도)는 78.5점으로 나타나 이는 2014년 조 사결과와 비교하면 0.5점 상승한 반면, 2013년 대비 2.8점 하락한 결과임. 사업 평가 차원의 항목에서 ‘향후 지속성’이 8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른 항 목은 모두 70점대로 비슷한 수준을 보임. ‘향후 지속성’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 난 항목이나 2013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꾸준한 사업 유지를 위한 콘텐 츠 개발 및 구성 등의 노력으로 사업참여자에게 지속성이 필요한 사업이라는 이 미지를 심어줘야 함. 그러나 이해용이성/내용구성적절성 항목은 2013년 이후 꾸 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평소 사회·정치 관련 뉴스 관심도 및 대화 빈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사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 2015년 5·18기념재단 기관평가는 2013년 및 2014년에서 변화를 주어 이전에 평가에 포함한 사업적절성 항목을 제외하고 5·18기념재단 인지도 항목으로만 기 관평가 점수를 산출함. 2015년 5·18기념재단 기관평가(인지도)는 39.1점으로 2014년 대비 20.3점, 2013년 대비 5.2점 하락한 결과임. 기관평가 점수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이나 이는 2013년 및 2014년 5·18기념재단 기관평가 에서 사업적절성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임. 2015년 기관평가 항목인 인지도 항목을 비교하면 2014년 대비 4.2점 하락하였으나, 2013년 대비 14.7점 상승함. 평소 사회·정치 관련 뉴스 관심도 및 대화 빈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기관 평가 인지도가 높게 나타남.
일반국민 인식조사
조사 개요
조사목적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인식 추이와 재단 사업의 적절성 및 향후 개선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일반국민 인식개선과 향후 재단에 서 나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 목적으로 기획됨.
조사내용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및 관심도
- 가장 관심이 높은 역사적 사건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 5·18민주화운동 인지경로
- 5·18민주화운동 성격
- 5·18민주화운동 관심도
- 5․18민주화운동 인식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화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주의 상징성
- 5·18민주화운동의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평화통일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 여부
- 5·18민주화운동의 의미
- 5·18민주화운동 인식 개선도
- 5·18민주화운동 비방과 왜곡 관력 인식
- 5·18민주화운동 가치 훼손 대응 방안
- 향후 5·18민주화운동 정보 검색 의향
- 5·18민주화운동 홍보 방안
- 5·18기념재단 인지도 및 사업 인식
- 5·18기념재단 인지도
- 5·18기념재단 인지경로
- 향후 5·18기념재단 정보 검색 의향
- 5·18념재단 홍보 방안
조사설계
- 일반국민 인식조사
- 조사 대상 : 만 19세 이상 일반국민
- 조사 표본 : 600명
- 표본추출방법 : 16개 광역시도 및 성, 연령별 인구크기에 따른 비례할당 추출
- 조사 방법 : 전화조사(CATI)
- 조사 방식 : RDD(random digit dialing)방식 조사
- 조사 기간 : 2015년 5월 12일 ~ 5월 13일
- 신뢰수준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4.00%
- 조사기관 : 5·18념재단 & 현대리서치연구소
- 가중치조정 : 광역시도 및 성, 연령별 인구크기에 따라 가중치 조정
응답자 특성
사례수(명) | % | ||
---|---|---|---|
전 체 | 600 | 100.0 | |
성별 | 남성 | 298 | 49.7 |
여성 | 302 | 50.3 | |
연령 | 만 19-29세 | 97 | 16.2 |
30-39세 | 115 | 19.2 | |
40-49세 | 131 | 21.8 | |
50-59세 | 119 | 19.8 | |
60세 이상 | 138 | 23.0 | |
지역 | 서울 | 122 | 20.3 |
인천/경기 | 175 | 29.2 | |
대전/충청 | 62 | 10.3 | |
광주/전라 | 61 | 10.2 | |
대구/경북 | 61 | 10.2 | |
부산/울산/경남 | 92 | 15.3 | |
강원/제주 | 27 | 4.5 | |
5․18민주화인지여부 | 인지 | 516 | 86.0 |
비인지 | 84 | 14.0 | |
5․18기념재단인지여부 | 인지 | 136 | 22.7 |
비인지 | 464 | 77.3 | |
사회·정치 관련 뉴스의 관심도 | 상 | 381 | 63.5 |
중 | 165 | 27.6 | |
하 | 53 | 8.9 | |
사회·정치 관련 대화 정도 | 상 | 161 | 26.8 |
중 | 331 | 55.1 | |
하 | 108 | 18.0 | |
정치성향 | 진보 | 241 | 40.2 |
중도 | 129 | 21.5 | |
보수 | 230 | 38.3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및 관심도
우리나라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일반국민의 55.4%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8.6%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민주화와 관련한 우리나라 역사적 사 건 중 가장 관심이 높은 사건은 ‘5·18민주화운동’이 54.8%로 가장 높게 나타나 고, 다음으로 ‘4·19혁명’(25.4%) 등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6.jpg)
- 일반국민의 86.0%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 인지경로는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매체’가 50.0%로 가장 높 게 나타남. 5․18민주화운동의 성격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에 기여 한 운동’이 57.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소 5․18민주화운동에 관심 있다는 의견은 50.4%로 나타난 반면, 관심 없다는 의견은 11.5%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7.jpg)
5․18민주화운동 인식 및 인식개선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은 민주화 기여도(68.2%) >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67.0%) > 민주주의 상징성(62.4%) > 평화통일 기여도(26.3%) > 진 상규명 여부(24.1%)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8.jpg)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화 기여도에 대해 기여했다는 의견은 68.2%로 나타난 반 면, 기여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13.1%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주의 상징성에 대해 그렇다는 의견은 62.4%로 나타난 반 면,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14.1%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에 대해 기여했다는 의견은 67.0%로 나타난 반면, 기여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11.8%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평화통일 기여도에 대해 기여했다는 의견은 26.3%로 나타난 반면, 기여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42.1%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 여부에 대해 이루어졌다는 의견은 24.1%로 나타난 반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은 47.3%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민주화’(44.5%) 및 ‘인권’(31.4%)으로 나타남.
5․18민주화운동 인식개선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비방과 왜곡과 관련해서 일반국민 중 57.9%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으며, 5․18민주화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훼손하는 일에 대한 가 장 시급한 대응방안은 ‘초․중․고등학교 교육 강화’가 66.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고, 다음으로 ‘허위 유포자 사법처리’(43.8%) > ‘TV, 인터넷 등의 미디어 광 고’(41.8%) > ‘다양한 행사 추진’(13.6%) 등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9.jpg)
- 향후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이나 신문, 잡지, 홍보책자 등을 통 해 찾아볼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58.4%로 나타남.
- 5․18민주화운동을 홍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 매체’가 52.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인터넷’(14.7%) > ‘교과서․홍 보책자․잡지 등의 인쇄물’(12.8%) > ‘영화․홍보영상 등의 영상물’(11.8%) 등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10.jpg)
5․18기념재단 인지도 및 사업 인식
- 5․18기념재단에 대해 일반국민 22.7%는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5․18기념재단의 인지경로는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매체’가 61.9%로 가장 높 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인터넷’(11.6%) > ‘교과서․홍보책자․잡지 등의 인쇄 물’(8.6%) > ‘주변사람’(8.4%) 등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11.jpg)
향후 5․18기념재단과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이나 신문, 잡지, 홍보책자 등을 통해 찾아볼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는 50.4%로 나타났으며, 5․18기념재단을 홍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매체’가 54.8%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인터넷’(17.9%) > ‘영화․홍보영상 등의 영상물’(10.0%) > ‘교과서·홍보책자·잡지 등의 인쇄물’(8.8%) 등의 순으로 나타남.
![](/template/resources/images/theme/base/sub/p_06040803_12.jpg)
종합 요약 및 제언
- 우리나라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일반국민 중 과반수이상(55.4%)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민주화와 관련한 역사적 사건 중 가장 관심이 많은 사건을 5․18민주화 운동으로 꼽아 지속적인 5․18민주화운동 정신의 계승·발전이 요구됨.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5․18민주화운동의 인 지도가 85%이상으로 지난해 대비 상승한 수준을 보였으며, 주로 ‘TV․신문․라디 오 등의 대중매체’와 ‘교과서․홍보책자․잡지 등의 인쇄물’ 등을 통해 접함. 또한 과반수이상(57.4%)이 5․18민주화운동의 성격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신 장에 기여한 운동으로 생각하고 있어 민주화에 기여한 역사적 사건으로 인식됨. 그러나 국민의 약 10%는 ‘폭력사태’ 혹은 ‘폭동’으로 생각하고 있어 올바른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전파해야 함.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도는 지난해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인지도 에 비해 관심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꾸준한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 이 필요함.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화, 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기여도, 진상규명 여부는 지난 해 대비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시민의식 및 인권시장 기여도는 소폭 상승하여 5․18민주화운동은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에 기여했다는 지속적인 평가 를 받고 있음. 그러나 평화통일 기여도 및 진상규명 여부는 부정적인 응답이 더 높아 최우선 해결 과제로 남음. 대부분의 국민은 5․18민주화운동에서 ‘민주화’ 및 ‘인권’이 가장 중요한 의미라고 생각함.
-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5․18민주화운동을 비방하거나 왜곡하는 등 5․18민주화운 동의 의미와 가치가 훼손되는 심각성에 대해 일반국민 2명 중 1명은 ‘심각하다’ 는 데에 동의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육 강화’ 및 ‘TV, 인터넷 등의 미디어 광고’를 통한 적절한 대응이 요구됨.
-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5․18기념재단에 대한 인 지도는 지난해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며, 주로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매체’ 및 ‘인터넷’으로 접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통한 5․18기념재단의 홍보가 필요함.
- 일반국민의 절반 이상은 향후 5․18민주화운동 및 기념재단에 대한 정보 수집 의 향이 있어 ‘TV․신문․라디오 등의 대중매체’ 및 ‘인터넷’ 등의 활용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주요사업만족도조사
조사목적
조사 개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사업참여자의 인식 추이와 재단 사업의 적절성 및 만족도, 향후 개선방안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사업참여자 인식개선과 향 후 재단에서 나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 목적으로 기 획됨.
조사내용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및 관심도
- 역사적 사건 관심도
- 가장 관심이 높은 역사적 사건
- 5․18민주화운동 인지도
- 5․18민주화운동 인지경로
- 5․18민주화운동 성격
- 5․18민주화운동 관심도
- 5․18민주화운동 인식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화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민주주의 상징성
- 5․18민주화운동의 시민의식 및 인권신장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평화통일 기여도
-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 여부
- 5․18민주화운동의 의미
- 5․18민주화운동 인식 개선도
- 5․18민주화운동 비방과 왜곡 관련 인식
- 5․18민주화운동 가치 훼손 대응 방안
- 향후 5․18민주화운동 정보 검색 의향
- 5․18민주화운동 홍보 방안
- 5․18사업 만족도
- 내용포괄성/주제적절성
- 이해용이성/내용구성적절성
- 지속적 관리/이해적절성
- 민주화정신 계승 및 발전적절성
- 향후 지속성
- 전반적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