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의 5·18
Our May 18
5·18기념재단 오월기억저장소 전시실 기획상설전
관람시간 / 평일 10:00~17:00, 주말·공휴일 휴관
관람료 무료
Opening Hours / Mon~Fri 10:00~17:00, Closed on Weekends & Hoildays
Admission Free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5·18기념문화센터 1층 5·18기념재단 사무처 옆
152, Naebang-ro, Seo-gu, Gwangju, Republic of Korea, 61965
062-360-0518 / www.518.org
※ 전시 브로슈어 내려받기 (클릭) / Download Exhibition Brochure (CLICK)
5·18기념재단은 5·18희생자들의 보상금과 국민성금, 해외동포 성금을 모아 1994년 8월 30일에 설립된 비영리 민간 재단법인입니다. 재단은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명예회복, 국가 배상·보상, 기념사업 등 광주 문제 해결을 위한 5원칙을 바탕으로 다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① 기념 및 추모사업 ② 학술·연구·교육·문화 사업 ③ 장학 사업 ④ 진실 규명 사업 ⑤ 홍보·출판 사업
⑥ 광주인권상, 문학상, 언론상,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등 시상 사업 ⑦ 국내·외 연대 사업
또한 재단은 국제 무대에서 5·18정신을 알리고 민주주의·인권 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2011)
-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비정부기구위원회 특별협의 지위 획득(2021)
The May 18 Foundation is a non-profit and non-official Foundation established(1994) with donations from the victim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from Koreans both in and outside the country. Foundation has carried out projects in order to execute the Five Principles which was agreed on in 1993 by Uprising-relat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realize the following: Truth Ascertainment, Punishment of Those Responsible, Restoration of Tarnished Reputations, State-level Indemnification and Reparation, and Commemoration Activities.
① Commemoration ② Research, Education, Culture ③ Fellowships ④ Truth Discovery ⑤ PRs and Publications Projects ⑥ Human Rights, Literature, Press Awards ⑦ Domestic & International Solidarity
The May 18 Foundation has worked to spread the May 18 Spirit and to promote democracy and human rights.
- Registered the record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s UNESCOs Memory of the World (2011)
- Granted Special Consultative Status by the Committee 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f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2021)
광주인권상
5·18은 대한민국 광주에서 일어난 과거의 사건으로만 멈춰 있지 않습니다. 광주인권상은 부당한 권력과 제도에 맞서 싸우며, 억압받고 소외받은 분들과 연대하고 있습니다. 5·18기념재단은 인권과 민주주의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모든 이들을 응원합니다.
5월 18일 광주에서 ‘광주인권상’, ‘광주인권상 특별상(격년)’ 시상
+
<아시아인권헌장> 제정(1998)
<광주인권상> 제정(2000)
<아시아인권헌장> 정의권, 평화권, 문화권을 위한 부속선언 발표(2019)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The May 18 Foundation supports all those who work to improve human rights and democracy.
On May 18th, the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nd the Gwangju Human Rights Prize Special Award (every other year) are presented in Gwangju.
+
The spirit of May 18 is carried forward through
아시아인권헌장(Asian Human Rights Charter) 2021.PDF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1980년 5월, 군부독재에 의한 시민 학살 참상을 전 세계에 알려 국제 연대를 이끈 故 위르겐 힌츠페터 영상기자.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은 인권과 정의 구현 현장에서 역사를 기록하는 영상기자를 발굴하는 대한민국 최초 국제보도상이다.
※ 주최: 5·18기념재단 × 한국영상기자협회 / 후원: 광주광역시
Hintzpeter Awards (2021~ )
The late Hurgen Hinzpeter was the German video reporter who informed the world of the horrible scenes of the Massacre committ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May, 1980. The Hintzpeter Awards is the first international press award in Korea that awards video reporters who cover the scenes of activism for human rights and justice.
+ 대한민국 최초 국제보도상, 제2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시상식 이모저모(2022.10.26.~29.)
5·18기록정보관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 관련 다양한 자료를 기증받고 있습니다. 기증은 그 자체로도 매우 의미있는 일입니다. 또한 도난·멸실·훼손 등으로부터 사료를 보호하고, 전시와 연구 등을 통해 그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 기증 대상 예 : 공문서, 보고서, 편지, 일기, 메모, 수첩, 팸플릿, 포스터, 간행물, 사진, 앨범, 음성기록, 영상기록, 필름, 액자, 훈장, 그림 기념품 등
※ 문의 : 5·18기념재단 062-360-0518
May 18 Archive (Record)
The May 18 Foundation has received donations of May 18 related materials. Donation itself is a meaningful act as it can enhance the value of materials by preventing them from theft, loss, and damage. Donation Materials include official papers, reports, letters, personal diaries, memos, pocket books, pamphlets, posters, printed materials, photos, photo albums, sound materials, videos, films, framed documents, badges, paintings, souvenirs, etc.
※ Contact the May 18 Foundation at +82-62-360-0518 or our SNS(instagram)
‘오월교육원칙’과 함께하는 온라인 ‘오월학교’
① 초등 3·4학년 / 초등 5·6학년 / 중·고등학교 5·18교과서 자료
② 대상별, 주제별 다양한 형태의 교육용 미디어 콘텐츠 제공
③ 교육자료 및 교재, 퍼즐 등 신청 가능
오월교육 원칙
① 5·18의 보편적 의미를 깨닫는다.
② 5·18이 현재와 관련된 사건임을 확인한다.
③ 그날의 희생이 불가피한 것이 아니었음을 환기한다.
④ 생존자의 증언을 통해 새로운 증인이 된다.
⑤ 공감을 도모하나, 정서적 부담은 경감한다.
⑥ 목표 집단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⑦ 야만의 회귀 가능성을 경계한다.
⑧ 시민의 용기와 참여에 주목한다.
⑨ 5·18이 생생한 민주공동체였음을 깨닫는다.
⑩ 공감과 의분의 능력을 배양한다.
⑪ 비판적 사고를 북돋는다.
⑫ 개인의 자율성을 육성한다.
May 18 School based by May 18 Education Principles
① Elementary 3rd and 4th Grades / Elementary 5th and 6th Grades / Secondary School Education Materials
② Various Customized Media Materials Available to Target Groups
③ Education Materials, Textbooks, and Jigsaw Puzzles Available
Principles of May 18 Education
① Realize the universal meaning of May 18.
② We confirm that May 18 is an event related to the present.
③ Recall that the sacrifice of that day was not inevitable.
④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survivor, he becomes a new witness.
⑤ Empathy is sought, but the emotional burden is reduced.
⑥ Find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for the target group.
⑦ We are wary of the possibility of a return to barbarism.
⑧ Pay attention to the courage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⑨ Realize that May 18 was a vivid democratic community.
⑩ Develop the ability of empathy and righteousness.
⑪ Encourage critical thinking.
⑫ Promote individual autonomy.
5·18기념재단의 5·18 진실규명·왜곡대응 활동
① 5·18 항쟁사 정리
② 해외 5월 운동사 정리(독일, 미국 등)
③ 5·18 참여자 증언 채록
④ 5·18 피해자 및 행방불명자 기초조사
⑤ 자료수집, 보존, 분석
⑥ 기록물 통합 DB 구축
⑦ 5·18 사진 아카이브 운영(이창성, 나경택 기자)
⑧ 학술연구(학술대회, 토론회, 연구논문 지원)
⑨ 전두환·노태우 사법처벌 추진
⑩ 전두환·지만원 등 민·형사 법률대응(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⑪ 5·18 진실규명 제보 접수, 조사(전일빌딩 헬기 총탄 흔적 발견·조사, 광주교도소 등 암매장 발굴)
⑫ 왜곡 모니터링, 법률대응
⑬ 왜곡 서적 열람·판매금지, 전두환 미화시설 철거
May 18 Truth Finding and Projects Against Distortion
① Compiling May 18 Uprising History
② Compiling Oversea’s May 18 Related Struggles(Germany, USA)
③ May 18 Participants’ Testimonies Recording
④ Gathering Basic Information About May 18 Victims and Missing Cases
⑤ Collecting, Preserving, Analyzing Related Materials
⑥ Combining Related Records and Constructing A Data Base
⑦ Running May 18 Photo Archive (Lee Chang-seong, Na Kyung-taek)
⑧ Academic Research (Supporting Symposiums, Open Forums, Theses Writing)
⑨ Pushing Ahead with Legal Punishment of Chun Doo Hwan and Roh Tae-woo
⑩ Taking Legal Counteractions Against Chun Doo Hwan, Ji Man-won (Lawyers Defending Korean Democracy Gwangju·Jeonnam Regions)
⑪ Collecting & Investigating May 18 Truth Finding Related Reports (Finding and Investigating Bullet Marks on the Jeonil Bld., Excavating Secret Burial Sites at the Gwangju Prison)
⑫ Taking Legal Responses Against May 18 Distortions
⑬ Banning May 18 Distortion Books and Removing Chun Doon Hwan Monuments
5·18언론상
1980년, 군사반란세력의 언론통제 상황에서 5·18 진실 보도를 위해 헌신한 언론인들이 있었다. 5·18기념재단과 광주전남기자협회는 그들의 노력을 기념하고 언론정신의 맥을 잇고자 5·18언론상을 2007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 주최: 5·18기념재단 × 광주전남기자협회 / 후원: 한국기자협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May 18 Press Awards
There were journalists who were committed to report the truth during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hile the media was controlled by the military. The May 18 Foundation and Gwangju-Jeonnam Journalists Association established the yearly May 18 Press Awards in 2007 to remember their endeavors and to carry on their journalist spirit.
전시장 키오스크(4대) / 음원 89곡, 영상 112편
- [오월을 듣다] 음원 89곡
: 5·18정신계승 기념음반 1~3(46), <오월의 노래> 릴레이 버스킹(kbc, 43)
- [오월을 보다] 영상 33편
: 모두의 5·18(kbc광주방송, 8), 오월강학(4), May 18 Academy (English, 7), 교육영상(5), 민주주의로 본 아시아(3), 세 개의 도시, 세계의 광주(이매진, 6)
- [5·18언론상] 32편
: 2022(6), 2021(6), 2020(5), 2019(5), 2018(5), 2017(5)
- [내 인생의 오일팔] 영상 47편
: 내 인생의 오일팔(광주MBC, 27), 연극·영화·폰트 등 단일주제(10), 왜곡폄훼(4), 사적지(3), 실험카메라(3)
5·18 사진 아카이브
1980년 당시 이창성(중앙일보), 나경택(전남매일신문) 기자 촬영 사진 3천여 장을 확인하세요.
1980년 5월, 계엄군의 폭압에도 용기있는 기자들의 카메라 앵글은 현실을 직시하고 있었습니다. 위험을 무릅쓰고 떨리는 손을 부여잡으며 그들이 기록한 것은 ‘진실’이라는 이름의 ‘역사’였습니다.
May 18 Archive (Photo)
Check out more than 3,000 photos taken by reporters Lee Chang-seong and Na Kyung-taek in 1980.
In May, 1980, regardless of its ferocious surveillance, camera angles were focused to record the reality. What was recorded by the photographers’ trembling hands in the life-threatneing situation was ‘history’ under the name of ‘truth’.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5·18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한 전환점이었다.”
5·18이 지향한 민주, 인권, 평화의 정신은 세계인의 보편적 가치다. 유네스코에서 5·18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 것도 이를 잘 보여 준다. 5·18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은 시민의 항쟁, 가해자들의 처벌과 보상에 관한 문서·사진·영상 등의 형태로 남아 있다.
① 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소장
② 군사법기관 재판자료와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자료: 육군본부
③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 광주광역시 소장
④ 사진 자료: 광주광역시, 5·18기념재단 소장
⑤ 시민들의 기억과 증언: 5·18기념재단 소장
⑥ 피해자들의 병원 치료 기록: 광주광역시 소장
⑦ 국회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국